반응형 #말씀묵상2 📖 기도는 ‘나’로부터가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기도를 많이 한다고 해서 반드시 바른 신앙을 갖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기도를 열심히 하는 분들 중에서도 상식 이하의 행동이나 하나님의 뜻과는 동떨어진 결정을 내리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이는 기도를 배울 때 하나님의 말씀보다 자신의 감정과 본능에 따라 시작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본능의 기도 vs 선물로서의 기도팀 켈러는 기도를 두 가지로 구분합니다:• 본능의 기도: 어려움 속에서 자연스럽게 튀어나오는,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 기도• 선물로서의 기도: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반응으로 드리는 감사와 찬양의 기도기도는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기도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응답’유진 피터슨은 시편을 “응답하는 기도”라고 말합니다. 기도는 우리의 고통을.. 2025. 7. 2. 제자훈련, 성령충만, 그리고 ‘생각하는 믿음’ 요즘 제자훈련을 지성 중심의 성경공부로만 이해하고, 여기에 성령사역을 따로 “접목”해야 한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구분은 오히려 성령님에 대한 오해를 낳을 수 있습니다. 종교개혁자들은 성령님이 항상 말씀과 함께(Cum Verbo) 역사하신다고 가르쳤습니다. 진정한 성령 충만은 말씀 중심의 삶과 분리될 수 없습니다.성령충만은 ‘엑시타시’가 아니다오순절 마가의 다락방에서도 성령이 임하실 때 베드로는 요엘서와 시편을 인용하여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를 전합니다.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사람들이 “우리가 어찌할꼬?”(행 2:37)라고 반응한 것은, 성령께서 그들로 생각하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마틴 로이드 존스 목사는 “참된 변화는 생각으로부터 시작된다”고 강조합니다.생각 없는 세상, 생각하는 성도오.. 2025. 6. 30. 이전 1 다음